보훈지기 박선영보훈지기 박선영
블로그회사소개

2025 보훈지기 박선영 All rights reserved.

국가유공자 장례 화장비 왜 청구받나요?

2025. 8. 14.
보훈지기 박선영
2분 읽기
국가유공자 장례 화장비 왜 청구받나요?

며칠 전, 얼굴만 알고 지내던 동네 주민분께서 조심스레 말을 거셨습니다. 제가 국가유공자 전문장례 기업을 운영한다는 걸 들었다면서요. 아버지 장례를 타지역 상조회사를 통해 모셨는데, 혹시 제가 잠깐만 확인 좀 해줄 수 있겠냐고요. 얼핏 넘길 수도 있는 이야기였지만, "좀 이상하다" 싶었던 건, 마지막으로 들은 말 때문이었습니다.

"국가유공자인데… 화장비로 100만 원을 결제했다더라고요."

잠깐 말을 잇지 못했습니다.

국가유공자의 장례 절차를 많이 진행해본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현재 보훈지청에 등록된 유공자는 전국 모든 공설 화장장에서 비용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법에 따른 지원사항으로, 지자체 간 차이가 있는 항목도 아니고, 별도 신청이 필요한 절차도 아닙니다. 그러나 당시 그분의 장례를 맡은 장례지도사는 해당 내용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결국 유가족이 스스로 비용을 부담하게 되었지요.

이야기를 들은 뒤 저는 바로 관할 화장장과 보훈지청에 확인 요청을 넣었습니다. 결제된 화장비 내역이 보훈 대상자 자격으로 환불 대상이 되는 상황이었기에, 조금 번거로운 행정 절차를 거쳐 결국 해당 비용은 유가족에게 전액 환불로 처리되었습니다.

큰 금액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의 본질은 금액이 아니라 ‘몰랐다는 것’에 있었습니다. 그때 제 지인의 한마디가 마음에 깊이 남습니다.

"그게 당연한 거라고는 생각도 못했어요. 그냥 원래 그런 건 줄 알고…"

당연한 걸 당연하게 여길 수 없는 상황, 그리고 그것을 의심하지 못했다는 자책감. 우리는 장례라는 급박하고 정서적으로 취약한 상황 속에서 ‘정보의 격차’가 누군가에게 얼마나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는지를 종종 봅니다. 그리고 매번, 느낍니다. 이 일은 정보의 일이기도 하고, 마음의 일이기도 하다는 걸요.

저희 보훈상조는 늘 같은 방식으로 일합니다. 기록을 다시 확인하고, 예우를 기준 삼고, 무엇이든 유가족 대신 묻고, 따져봅니다. 그래서 가끔은 "너무 꼼꼼한 거 아니냐"는 말도 듣고요. 하지만 이번 일처럼, ‘그게 기본 아닌가요?’라는 질문을 다시 묻게 되는 순간엔, 저희가 지키고 싶은 기본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자리를 잡게 됩니다.

어쩌면 그 장례지도사에게는 그 날의 100만원이 ‘당연한 금액’이었겠지요. 그런데 저에게는 그 100만원을 돌려드릴 수 있었다는 사실이, 아직 제가 이 일을 계속해야 하는 이유처럼 느껴졌습니다.

 

박선영 드림

블로그

다른 글

국가유공자 태극기 문양 하나에 의미가 담긴다는 걸, 요즘 새삼 느낍니다
2025년 8월 12일

국가유공자 태극기 문양 하나에 의미가 담긴다는 걸, 요즘 새삼 느낍니다

국가유공자 장례 현장을 직접 보는 이유, 마음이 먼저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2025년 8월 6일

국가유공자 장례 현장을 직접 보는 이유, 마음이 먼저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여성이 국가유공자일 수 있다는 사실, 당연한데 자주 잊게 됩니다
2025년 8월 5일

여성이 국가유공자일 수 있다는 사실, 당연한데 자주 잊게 됩니다